본 연구는 사범대 과학교육전공 재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머신러닝 모델인 랜덤 포레스트와 그래디언트 부스팅 모델과 SHAP 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했다. 연구 결과, 그래디언트 부스팅 모델의 성능이 랜덤 포레스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본인 전공 교과에 해당하는 고교시절 과학교사 만족도’, ‘교직동기’, ‘나이’ 등이 있으며, 학업만족도는 ‘나이’, ‘성별’, ‘내신 과학 전문교과 이수여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SHAP value를 활용하여 변인의 영향력을 밝힐 수 있었고, 그 결과가 집단 전체에 대한 것과 개별적 분석으로 각각 도출이 가능했고, 서로 보완적 결과가 도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과 재학생의 전공 및 학업 만족도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satisfaction of science education major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model, and SHAP.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gradient boosting model was better than that of the random forest, but the difference was not large.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include 'satisfaction with science teachers in high school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of one's major', 'motivation for teaching job', and 'age'. Through the SHAP value, the influence of variables was identifi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or the group as a whole and for individual analysis. The comprehensive and individual results could be complementary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ways to suppor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ajor and academic satisfaction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