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은 삶의 각 영역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중 본 연구는 문화 영역에서의 인공지능의 기능에 대해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교육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탐색한 후,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업하며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문화를 형성해 갈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감정이입적 상상력’을 통해 문화를 향유하는 태도를 길러준다. 셋째, 교사의 ‘몸으로 수행하는 능력’과 ‘즉흥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의 민감성을 길러준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bringing various changes to each area of life. Among them,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flect on the fun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ultural domai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n derived the following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First, it helps to achieve cultural development through ‘the ability to communicate, collaborate, and coexist with others’. Second, it fosters an attitude of enjoying culture through 'empathetic imagination'. Third, it develops the sensitivity of interaction by utilizing the teacher's 'ability to perform with the body' and 'ability to improv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