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인공지능 글쓰기의 초등 도덕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Using Possibility of AI Writing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김은수 ( Kim Eun-soo )
윤리교육연구 vol. 68 213-240(28pages)
UCI I410-ECN-151-24-02-088654820

이제 인공지능이 인간 사용자들과 능숙하게 대화하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이전에 챗봇이라는 프로그램은 묻는 말에 대답하는 매우 단순한 수준이었지만, 이번에 새로 발표된 대화형 인공지능은 자유로운 대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쓰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부정확성, 편향성, 거짓말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지만, 향후 버전업이 되면 더욱 강력하게 발전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긍ㆍ부정적 전망이 교차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GPT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기술 발전, 그에 기초한 인공지능 글쓰기의 사회적 함의, 초등 도덕교육에서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및 그 한계점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Now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gun to communicate and write skillfully with human users. Previously, a program called a chatbot could give very simple answers to questions, but the newly announced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known to enable various writing as well as free conversation. Currently, it has several problems such as inaccuracy, bias, and lies, but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develop more strongly when the version is upgraded in the future. In academia, positive and negative prospects for this are intersect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GPT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the social im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riting based on them, the necessity and availability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heir limitations.

Ⅰ. 들어가는 말
Ⅱ. 인공지능 글쓰기의 기술적 발전과 과제
Ⅲ. 인공지능 글쓰기에 대한 초등 도덕교육적 접근
Ⅳ.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