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4
18.97.9.174
close menu
Accredited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 연구: 조직사회화(organizational socialization) 관점에서
김정인
UCI I410-ECN-151-24-02-088648680

공무원에게 있어 ‘책임성’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중요하게 함양되어야 할 가치이자 덕목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직사회의 주요 인적 구성이 MZ 세대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업무 가치관과 태도를 지닌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그들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직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사회화 전략과 책임성 관계에서 세대 간 조절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한국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실증분석한 결과, 객관적 책임성과 주관적 책임성 인식 모두 MZ 세대 공무원들이 기성세대 공무원들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MZ 세대 공무원들의 책임성 증진 방안을 조직사회화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조직이 그들의 과업숙련도 지원을 강화할 때, 구성원들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리더가 명확하게 과업을 지시할 때, 조직목표와 가치가 명확할 때 MZ 세대 공무원의 객관적 책임성과 주관적 책임성 인식이 모두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대에 따른 조직사회화 전략과 책임성 관계 조절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MZ 세대 공무원들의 책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사회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Ⅰ. 서 론
Ⅱ. MZ 세대 공무원 책임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함의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