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중국 농산물의 연구 이슈와 발전 동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2-2022년 중국 CNKI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아세안-중국 농산물에 관한 646편의 문헌을 데이터 소스로 하여 CiteSpace 문헌 계량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지식 맵을 그리고 시각화 분석 연구 결과, 이 분야의 고수율 저자, 기관 간 협력 부족, 아세안-중국 농산물 연구 주제는 주로 일대일로 제안 전과 제안 후 두 단계로 나뉜다.
연구 이슈는 크게 무관세, 대책, 무역 효과, 영향 요인, 이원 한계, 생돈 제품, 면화 수입액 및 무역 잠재력, 일대일로 및 삼원 한계 11개 주제를 따라 발전해 온다. 이를 바탕으로 아세안-중국 농산물 연구를 더욱 심화하기 위한 과학적 이론적 지침과 제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objectively grasp the research hotspots and development trend of ASEAN-China agricultural products, this paper uses 646 articles on ASEAN-China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in CNKI database from 2002 to 2022 as the data source, draws the knowledge map using CiteSpace bibliometric software, and conducts visual analysis.
The research them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divided into two stag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belt and road; the research hotspots are shifted along 11 themes: zero tariff, countermeasures, trade effects, impact factors, binary margin, hog products, cotton imports, export value, and trade potential, belt and road and ternary margin. Based on this, we provide scientific theoretical guidance and suggestions to further deepen the research on ASEAN-China agricultura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