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란 무엇인가. 문자는 흔히 문자는 “구어(즉 입말 언어)의 의사 소통 체계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지”로 정의된다. ‘문자(文字)’는 ‘writing’과 ‘letter’의 통합체로서 인간의 ‘언어’를 나타내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인류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징에 따라 각 언어에 따른 적합한 문자 체계를 탐색해 왔다고 본다.
즉, 고립어인 중국어는 상형문자 체계로부터 멀지 않은 ‘한자(漢字)’를 채택하여 수천 년 동안 지속적으로 문자 체계를 운용해 왔고 자음어근형 굴절어인 아랍어 등 셈어계 언어들은 자음문자인 아브자드 방식을 적용한 이래 역시 수천 년 넘게 자신들의 언어 지식을 누적해 왔다. 교착어를 쓰는 언어들은 사정이 좀 다르다. 인류 역사에서 최초로 상형문자를 사용한 수메르어 사용자들은 교착어인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점차 상형문자로부터 단어문자로, 단어문자에서 음소문자로 문자 사용 방식을 바꾸어왔다. 같은 알타이 계통의 언어이면서 터키어나 위구르어는 자음문자인 아랍문자로, 몽골이나 만주어는 아랍문자에서 변형된 알파벳 문자로 문자 생활을 영위했으며 일본어는 한자어를 음절문자로 변형해서 자국어를 표기하고 있고 한국어 화자들은 초기에 한자를 빌어 음소문자적 형식을 절충한(받침표기에서) 음절문자의 형식으로 사용하다가 알파벳 자모문자인 ‘한글’을 만들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문자가 걸어온 길을 더듬어 볼 때, 문자란 ‘자국(혹은 자민족)의 음성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기하기 위한 효율적 방식의 기호’로 이해되며 이는 철저하게 자국의 언어적 특성에 종속되는 정향성(定向性, orientedness)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모든 문자는 이러한 정향성 이외에 본래 그림으로부터 출발한 상징성을 포함하는 부차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자란 “‘시각적’으로 구어 의사소통 체계를 항구적으로 재현하는 ‘도구’이며 ‘음성 언어’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 체계”라는 정의에, “‘음성 언어’의 형태유형론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탐색해 온 최적의 ‘시각 표기 체계’”라는 정의를 덧붙여 재정의할 수 있다.
What is a writing system[文字]? A writing system is often defined as “a visual marker represen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poken language (i.e., spoken language).” The ‘writing system’ formed in this way represents the ‘language’ of human beings as the unity of ‘writing’ and ‘letters.’ According to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s, the research considered that humankind has searched for a suitable writing system for each language.
As an isolated language, Chinese adopted ‘Chinese characters,’ not far from the hieroglyphic system, and has been operating the writing system continuously for thousands of years. Semitic languages such as Arabic, which are inflectional words of consonant roots, have accumulated their language knowledge for thousands of years since applying the Abjad, a consonant script. In languages that use agglutinative languages, the situation is a little different. Sumerian speakers, who first used hieroglyphs in human history, have gradually changed the way they use letters from hieroglyphs to word letters and from word letters to phonetic letters to express their language,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Although it is a language of the same Altai family, Turkish and Uyghur lived a written life with an Arabic script and a consonant script. Mongolia and Manchu lived with an alphabetic script modified from an Arabic script. Moreover, Japanese is a native language that transforms Chinese characters into syllable characters. In the early days, Korean speaker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nd used the phonemic form as a form of syllabic characters (in the support notation) and then made the alphabetic characters ‘Hangeul.’
When looking at the path the writing systems have developed, they are understood as ‘signs in an efficient way to visually express the spoken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 It has an orientation that is wholly subordinated to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one’s own country. On the other hand, all writing systems have secondary characteristics, including symbolism originating from the original picture. Therefore, an additional definition - “The visuality of the characters can be represented by iconizing the ‘thinking ability of mankind” - can be added here. Also, writing systems can be comprehensively redefined as “text is a ‘tool’ that permanently reproduces the verbal communication system ‘visually.’ It could also be viewed as an iconic sign system that conveys meaning by overcoming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the ‘voice language’ of one’s own country (or ethnic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