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등재
386세대를 둘러싼 연구쟁점과 세대연구를 위한 제언
Research Issues surrounding the 386 Generation and Suggestions for Generation Studies
박소진 ( Park So-jin )
DOI 10.17207/jstc.2023.3.26.1.7
UCI I410-ECN-151-24-02-088631087

일상에서부터 다양한 공공 영역에서 세대에 대한 이야기가 넘쳐나고 있는 한국의 현 상황에서, 분석의 범주로서 세대 개념에 대해 성찰하는 세대연구는 많지 않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 사회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중심이 되어온 386세대를 둘러싼 주요한 연구쟁점들을 고찰하여, 이에 기반한 향후 세대연구의 방향과 이론적 재구성에서 고려해야할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세대 개념을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 특정한 기간에 중요한 사건들을 공통적으로 경험한 코호트집단으로 이해하는 관점과 동일한 생애주기에 있는 과제동질적 집단으로 이해하는 관점에 기반한다. 386세대 연구에서 첫 번째 쟁점은 세대 명칭과 세대 구분의 문제로서, 이는 어려운 과제이지만 해결되어야하는 문제이다. 두 번째, 최근 386세대 비판론과 세대불평등론으로 대표되는 386세대 담론과 이에 대해 비판하는 세대연구에서 쟁점이 되는 것은, 이러한 과잉된 세대담론이 세대 현실의 문제를 가리거나 왜곡하고 있다는 점이다. 386세대 연구의 세 번째 쟁점은 소수 엘리트와 다수 대중의 구분, 그리고 젠더와 계급 등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내는 ‘세대 내 차이’의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세대는 자동적으로 스스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세대 당사자들의 자기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특히, 외부호명과 자기주장 사이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라는 측면에서 세대정체성에 주목하는 386세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386세대를 둘러싼 연구쟁점에 관한 논의에 기초하여, 이후 386세대를 포함한 다양한 세대연구를 위한 방향과 세대이론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해보았다. 먼저 세대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세대연구들은 누가 이러한 세대론을 만들고 활용하는지, 특정한 세대담론의 효과 등을 밝힌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이러한 연구가 앞으로도 필요하다. 그러나, 세대담론에 주목하는 연구들은 ‘현실의 세대’와 세대현실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는 세대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빈곤 상황 속에서, 세대를 분석의 범주로서 성찰하는 다양한 각도의 경험적 세대연구의 축적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들이 간과하고 있었던 세대 당사자들의 주관적인 의식, 세대 경험과 세대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분석이 축적되어야 하고, 이러한 세대구성원들의 이야기가 특정한 세대담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세대주의에 빠지지 않는’ 새로운 세대이론의 한 가지 방향으로 교차성에 주목하는 세대이론의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대’만을 강조하지 않는 세대연구, 세대와 다양하게 교차하는 젠더나 계급을 포괄하는 세대연구를 지향하는 이론적 방향인 것이다.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stories of generations are overflowing in our daily lives and various public areas, there are not many generational studies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generations as a category of analysis.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the major research issues surrounding the 386 generation, which has been the center of continuous debate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s the direction and theoretical reconstruction of future generation studi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generation as a cohort group who was born at the same time and experienced important events in a specific period in common and as a task homogeneous group in the same life cycle. The first issue in the 386th generation study is the problem of generation name and generation classification, which is a difficult task but a problem that needs to be solved. The second issue in the recent 386 generation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criticism of 386 generation and generational inequality theory and generational researches criticizing it, is that these excessive generational discourse obscures or distorts the problem of generational reality. The third issue is related to the issue of “difference within a generation.”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nority elite and the majority public, while being created by the intersection of gender and class. Lastly, since generations are not automatically created by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elf-claims of generation members. In particular, empirical research on the 386 generation, which pays attention to generational identity, is needed in terms of the result of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external calls and self-claims.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research issues surrounding the 386 gener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uture directions for various generational studies, including the 386 generation, and points to consider for critical reconstruction of generational theory. First of all, generational studies that critically analyze generational discourses are important in that they reveal who creates and utilizes these generational discourses and the effects of specific generational discourse. Although such research is continuously needed in the future, studies focusing on generational discourse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not captur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generation of reality” and generational reality. Second,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generation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empirical generation studies from various angles that reflect on generations as categories of analysis. In particular, empirical analysis of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generational experience, and generational identity of generation members that previous studies have overlooked should be accumulated, and research on how these generation members’ stories interact with specific generational discourse is also needed. Finally, a reconstruction of the generational theory that focuses on intersectionality in one direction of the new generational theory of ‘not falling into generationalism’ was presented. This is a theoretical direction aimed at generational research that does not emphasize only “generation” and generational research that encompasses gender or class that intersects generations in various ways.

Ⅰ. 들어가며
Ⅱ. ‘386세대’를 둘러싼 연구쟁점
Ⅲ. 세대연구를 위한 제언
Ⅳ.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