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혁신은 행위자들의 활동을 전통적인 물리적 영토에서 사이버 영역으로 확장했다.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와 시장은 사이버 공간의 주권에 대한 담론뿐 아니라 초국경 협력과 사이버 안보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진전시킨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천연가스나 심해자원과 같은 주요 자원 수송로에 위치한 개도국에 대한 원조 경쟁이 치열하다. 아세안은 미·중의 강대국이 충돌하는 지정학적인 군사·안보의 요지일 뿐만 아니라 6억 명에 이르는 인구는 데이터 자원으로 인해 디지털 경제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 이에 이 논문은 국제개발협력에서 자유주의와 권위주의 담론을 데이터 규제 및 사이버안보와 연계하고, 이를 통해 아세안 통합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빅데이터와 관련한 국제정치적 사안들을 연계하는 융합 연구의 의의가 있다.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has expanded the activity of actors from the traditional physical territory to the cyberspace. Data-driven platform services and markets advance new discussions on cross-border cooperation and cyber security, as well as discourse on sovereignty in cyberspace. These changes are also affecting the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particular, competition for aid to developing countries that are located along major resource transportation routes, such as natural gas and deep sea resources, is fierce. ASEAN is not only a geopolitical military and security point where the US and China powers collide, but its population of 600 million has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due to its data resources.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ims to connect the discourse of liberalism and authoritarianism with data regulation and cybersecurity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ASEAN integr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convergence study that links international political issues related to big data in terms of global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