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Accredited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시티 조례 분석: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Analysis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of Municipal Governments: Using Topic Modeling
서형준 ( Hyungjun Seo )
UCI I410-ECN-151-24-02-088630991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본 연구는 72개 지자체의 74개 스마트시티 조례를 대상으로, 지자체 스마트시티 조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조례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조례의 키워드에 따른 주제분류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키워드는 스마트도시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키워드가 조례 내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조례에 대한 토픽모델링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분석결과 관련 키워드에 따라 총 8개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주제-1(스마트시티 추진사항 보안), 주제-2(스마트시티 산업진흥), 주제-3(스마트시티 주민협의체 구성), 주제-4(스마트시티 추진체계 지원), 주제-5(개인정보 관리), 주제-6(스마트시티 데이터 활용), 주제-7(지능정보화 행정구현), 주제-8(스마트시티 홍보) 등으로, 주제의 비중은 주제-6, 주제-4, 주제-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주제분류는 수도권은 주제-5, 주제-6, 주제-8 의 비중이 높았고, 지방권은 주제-2, 주제-3, 주제-4의 비중이 높아 수도권은 스마트시티의 실질 운영 관련 주제가 높았고, 지방권은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준비단계 관련 주제 비중이 높았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rection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while focusing on 74 municipal ordinances from 72 municipal governments through topic modeling. As a result, the main keywords that show a high frequency belong to establishment and operations of the Smart City Committee. From the result of topic model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it classifies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into eight topics as follows: Topic 1(security for process of smart cities), Topic 2(promotion of smart city industry), Topic 3(composition of a smart city consultative body for local residents), Topic 4(support system for smart cities), Topic 5(management for personal information), Topic 6(use of smart city data), Topic 7(implementation for intelligent public administration), and Topic 8(smart city promotion). As for topic categorization by region, Topics 5, 6, and 8 which are mostly related to the practical operation of smart cities have a significant portion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n, Topics 2, 3, and 4 which are mostly related to the initial implementation of smart cities have a significant portion of municipal ordinances for smart cities in provincial areas.

Ⅰ. 서론
Ⅱ. 스마트시티 연구 및 현황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분석결과의 함의 및 정책제언
Ⅵ.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