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5
18.97.14.85
close menu
Accredited
포커싱 아트 작업에 참여한 여고생의 진로태도성숙 변화 경험
Experience of Chang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Focusing-Oriented art work
주은선 ( Joo Eun Sun ) , 류예진 ( Ryu Ye Jin )
UCI I410-ECN-151-24-02-088621143

배경: 고등학생은 청소년기 중에서 가장 많은 진로 역동을 보이지만, 입시 준비로 인해 충분히 자기탐색을 할 시간이 부족하여 적절한 진로동기를 유지하기 어려워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진로탐색에 있어서 자기포부와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맞춤형으로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는 여고생 대상으로 진로태도성숙을 학습할 수 있는 포커싱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자기탐색능력과 진로태도성숙을 학습할 수 있었는지를 참여자들의 경험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참여자의 진솔한 경험을 듣고자 Krueger & Casey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Giorgi의 기술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구성요소 3개, 하위 구성요소 7개, 의미 단위 14개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 1은 ‘신체 작업을 통한 자신과의 접촉’으로 ‘바디스캐닝을 통해 자신과 머무르기’, ‘자신의 내면 메시지에 귀 기울이기’, ‘신체 반응에 몰입하면서 펠트센스 구체화’ 3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뉜다. 구성요소 2는 ‘포커싱 포토작업을 통한 펠트센스 구체화’로 ‘자기 펠트센스 정돈하기’, ‘진정한 자신과의 만남’ 2가지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뉜다. 구성요소 3은 ‘포커싱 시화작업을 통한 자신과의 일치성 확보’로 ‘포커싱 시화 작업물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소통’, ‘포커싱 시화 작업물을 통한 자신과의 대화’ 2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나뉜다. 시사점: 첫 번째, 여고생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서는 신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활동이 중요하다. 두 번째, 여고생은 자신이 선택한 진로에 심신통합적 접근으로 확신을 갖게 되고,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세 번째, 여고생들은 자신과 진솔한 관계를 포커싱 아트 작업을 통해 맺으며 자신이 원하는 진로 가치를 찾을 수 있다.

Background: High school students show the most career dynamics among adolescents, but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self-explore due to preparation for entrance exams,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appropriate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need a program that can be customized in that they lack self-awareness and confidence in career exploration compared to male student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xperiences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elf-exploration abil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by participating ‘Focusing Group Program(FGP)’.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using Krueger & Casey’s focus group interview to listen to the participants’ sincere experiences.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indings: As a result, 3 components, 7 sub-components, and 14 meaning units were derived. Component #1 was named as ‘contact with oneself through body work’ and three sub-components were called: ‘staying with oneself through body scanning’, ‘listening to one’s inner message’, and ‘refining felt sense while immersing in body reactions’. Component #2 was drawn as three sub-components which were named as ‘Concretize felt sense through focusing photo work’, ‘arranging one’s own felt sense’ and ‘meeting with the true self’. Component #3 was called as ‘Retain congruence with oneself through focusing poetry-picture work’, and it is divided into two sub-components named as: ‘Communicate freely based on focusing poetry-picture works’ and ‘Conversation with oneself through focusing poetry-picture work’. Conclusions: First, i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high school female students, experiential activities centered on physical activities are important. Seco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become confident in their chosen career path with a mental-physical integration approach and can prepare systematically. Thir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can find the career value they want by establishing a honest relationship with them through focusing art work.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