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밍크 오일의 식물성 대체원료 개발
Development of Vegetable Alternative Materials for Mink Oil
이석주 ( Seok-ju Lee ) , 김민태 ( Min-tae Kim ) , 이소민 ( So Min Lee ) , 정소영 ( So Young Jung ) , ( Sofia Brito ) , 허효진 ( Hyojin Heo ) , 차병선 ( Byungsun Cha ) , 이상훈 ( Sang Hun Lee ) , ( Lei Lei ) , 조하현 ( Ha Hyeon Jo ) , 천유연 ( You-yeon Chun ) , 김예지 ( Ye Ji Kim ) , 이미기 ( Mi-gi Lee ) , 곽병문 ( Byeong-mun Kwak ) , 빈범호 ( Bum-ho Bin )
UCI I410-ECN-0102-2023-000-001058526

본 연구는 식물성 유지와 진균 유래 효소를 이용하여, 밍크 오일과 유사한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유지와 지방산을 혼합하여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유지의 지방산을 재조합하고, 탈산 및 정제과정을 통해 재조합 유지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재조합 유지는 gas chromatography 및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화학적 조성 및 열적 물성 등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밍크 오일과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높은 유사성을 보여주며, 화장품 원료로 점차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동물성 원료의 대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vegetable recombinated oil to mimic the animal-derived mink oil. Various vegetable oils and fatty acid substrates were mixed and an immobilized enzyme was utilized in the reaction to synthesize a plant-derived mink oil through deacidific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recombined oil were confirmed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ur results show a high similarity between mink oil and our synthesized plant-derived mink oil, revealing the potential of utilizing vegetable alternatives for the substitution of animal raw materials, which have been gradually discontinued as cosmetic ingredients.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