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對)르완다 한국 문화외교의 아프리카적 시각을 구축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르완다 영화산업에서의 협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문헌 분석과 현지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를 통해 진행하였다. 르완다의 영화산업은 제노사이드 이후 사회 통합이라는 사회적 역할과 르완다만의 문화 콘텐츠 제작 활성화라는 문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 경제 발전을 견인하고 국제 협력의 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 르완다 영화 산업은 아직 초기 발전 단계에 있으며 본격적인 산업화와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르완다 영화산업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프리카에서의 한국의 문화외교를 기존의 K-콘텐츠 확산에서 K-컬쳐 성공 신화의 공유와 견고한 파트너십 체결로 선회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르완다의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부상하는 MICE산업에 집중하여 한국의 효과적인 문화외교 전략 수립에 대해 고민한다.
This study pursues Korea’s cultural diplomacy paradigm shift from the African context focusing on Rwanda’s film industry employing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trie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Rwanda’s film industry to suggest an alternative strategy to present Korea’s cultural diplomacy revolving around the distribution of K-contents. Rwanda’s film industry assumes important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oles in Rwanda. However, it has not yet been industrialized an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re insufficient as it is in the beginning stage. Hence this study suggests building a strong partnership with Rwanda in this field sharing Korea’s experience in the global success of K-culture. Mean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ly emerging MICE industry of Rwanda to establish a win-win strategy between the two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