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UBC3D-PLM 모델을 이용한 1차원 유효응력해석에 의한 액상화 평가
Liquefaction Evaluation by One-Dimensional Effective Stress Analysis Using UBC3D-PLM Model
김정회 ( Jung-hoe Kim ) , 진현식 ( Hyun-sik Jin )
지질공학 33권 1호 151-167(17pages)
UCI I410-ECN-0102-2023-000-001072328

본 연구는 LNG저장탱크가 설치될 느슨한 포화사질지반을 대상으로 개정된 액상화 평가법과 UBC3DPLM 모델을 이용한 1차원 유효응력해석에 의한 액상화 평가법을 비교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가지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필요한 Parameter를 산정하였다. 검토결과, 지진응답해석결과와 SPT N값을 이용하는 개정 액상화 평가법은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지만, 다양한 액상화 저항인자를 고려할 수 있는 유효응력해석법은 액상화에 다소 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UBC3D-PLM 모델을 이용한 1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액상화 안정성 검토가 가능하였고, 액상화 보강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또한, LNG저장탱크의 기초를 고려한 2 · 3차원 수치해석 시에는 액상화 발생 시 내진설계 및 거동특성을 규명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revised method in loose saturated sandy ground where the LNG storage tank will be installed with an evaluation method by one-dimensional effective stress analysis using the UBC3D-PLM model. Various laboratory and field test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parameters necessary for evaluation. The revised liquefaction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eismic response analysis result and N value from standard penetration testing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liquefaction as high, but assessment using effective stress analysis, which can consider various liquefaction resistance factors, found the site to be somewhat stable against liquefaction. On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UBC3D-PLM modeling facilitated easier assessment of stability against liquefaction than the other methods and minimized the area required for reinforcement against liquefac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wo-and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foundation of the LNG storage tank can identify the seismic design and behavior when liquefaction occurs.

서론
관련연구동향
예비평가 및 본 평가를 통한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층 평가
유효응력해석을 위한 지반모델
유효응력해석을 통한 액상화 평가
결론
사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