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on the Elderly
이미진 ( Mijin Lee ) , 최정기 ( Jungkee Choi ) , 김소연 ( Soyeon Kim )
DOI 10.14578/jkfs.2023.112.1.93
UCI I410-ECN-0102-2023-000-001069829

고령화로 인해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노인성 질병 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활동이 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문헌을 분석하여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을 위해 국내는 RISS, KISS, Korea Med, Science On, 국외는 PubMed, Cochrane central, MDPI, Google Scholar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문헌의 방법론적인 질적 평가를 위해 코크란 그룹의 RoB2와 RoBANS를 이용하여 비뚤림 평가를 진행하였다. 2000년부터 2022년 1월 사이에 게재된 노인 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여 총 1,856편에서 최종 21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60세 이상이며, 선정된 문헌의 참가자는 최소 7명에서 최대88명으로 총 750명이 참가하였다. 분석결과, 각 지표에서 가장 많이 수행된 검사는 심리지표에서 우울 7편, 인지지표에서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2편, 생리지표에서 혈압 4편, 생화학지표에서 멜라토닌 2편, 신체지표에서 체지방과 근력 3편으로 나타났다. 총21편의 연구 중 19편의 연구가 2가지 이상의 검사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지표를 가장 많이 측정하였다. 향후 노인대상 산림치유 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인지기능 예방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산림치유 활동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후속연구는 지속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Life expectancy is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which is in turn exacerbating problems such as the prevalence of various geriatric diseases.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literature on how such activities affect this age group. For the collection of studies, the Korean databases RISS, KISS, Korea Med, and Science On were used, while PubMed, Cochrane Central, MDPI,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identify reports published elsewhere.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methodology used in the collected studies, the risk of bias was analyzed using Cochrane’s RoB2 and RoBANS. Among 1,856 reports initially identified, 21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which were limited to research papers on forest heal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published between 2000 and January 2022. In this review, the subjects were those aged 60 or older, with a total of 750 participants, ranging from at least 7 to a maximum of 88 per stud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tests in each category were on depression as a psychological indicator in 7 studies, MMSE(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as a cognitive indicator in 2 studies, on blood pressure as a physiological indicator in 4 studies, on melatonin as a biochemical indicator in 2 studies, and on body fat and muscle strength as physical indicators in 3 studies. Of the 21 studies, 19 used two or more test items, with psychological indicators being most commonly measured. For the future application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for the elderly, various forest healing programs to prevent cognitive function decline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n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tinuously presented to provide the basis for forest healing activities.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