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생의 수학 일기 쓰기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Writing Typ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ed in Mathematics Journal
고상숙 ( Choi-koh¸ Sang Sook ) , 박만구 ( Park Man Goo ) , 김정현 ( Kim Jeong Hyeon )
UCI I410-ECN-0102-2023-000-00106816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수학 일기 유형들을 분석하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수학 일기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여 수학교육에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일기 경진대회’에 제출한 교구수학부문 222편의 자료 중 미성년자 학생과 그 학생의 학부모 동의를 모두 받은 170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학 일기 유형분석을 위한 틀은 3명의 연구자 간의 독립적인 분석을 통해 12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쓴 수학 일기 쓰기의 유형으로 관찰 일기, 문제 만들기, 개념 정리 일기, 복습 일기 등 다양한 일기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일기 쓰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일기 쓰기에서 나타난 유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험에 의한 관찰일기, 문제만들기, 개념정리일기 등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소수이지만 아이디어 일기와 설명 일기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반면 게임을 통한 (승리) 전략 세우기와같은 유형은 하락하였다. 이는 활동중심 또는 단순한 묘사를 필요로 하는 유형에서 수학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수학 일기의 유형은 1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글쓰기에 교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mathematics journa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understand how they change in mathematics journals as the grade goes up, and to obtain im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170 of the 222 parish mathematics data submitted to the "Math Journal Contest" were analyzed with the consent of both minors and their parents. As for the framework for analyzing math journal types, 12 types were derived through independent analysis between three researcher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type of math journal writte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 variety of journals, such as observation, problem making, concept organization, and review. In addition, as a learning area, it was found that math journal showed a noticeable increase in experimental observation, problem making, and concept journal as the grades progressed, while a small number of idea journal and explanatory journals appeared. However, game (winning) strategy building and types declined. It can be seen that this is evolving from a type that requires activity-oriented or simple descriptions to a type that actively applies mathematical concepts. As such, there are 12-type of math journals, bu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the teaching materials in writing that can be freely expressed in the school setting.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