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주의는 一極 중심의 세계 질서에서의 국제주의적 생존방식이다. 목재 홍여하의 『휘찬여사』, 『동국통감제강』과 그의 역사 인식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조선의 생존 방식을 역사 속에서 찾은 것이다. 『휘찬여사』는 17세기 중반 남인계열의 관료이자 학자인 목재 홍여하의 저술로 일찍부터 학계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휘찬여사』는 단순히 『고려사』를 축약한 것이 아니라 綱目體 역사관의 입장에서 『고려사』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재정리한 것이다. 『휘찬여사』는 분량이 『고려사』의 3분의 1 정도로 『고려사』의 내용을 대폭 축약하여 가려 뽑은 것이다. 주자의 강목법에 비추어 중국 정통 왕조를 천자의 위치에 놓고 고려를 그 중화 질서의 한 축을 이루는 제후국으로서의 역할로 생각하여 송, 요, 원과 같은 나라와 고려와의 관계를 천자와 제후와의 관계로 설정하고 중국사를 철저히 보완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휘찬여사』의 역사인식에 대해서 100여 년 후에 같은 남인계열의 역사학자인 순암 안정복은 매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목재의 후손과 제자들이 『휘찬여사』의 간행에 임해서 질정을 요청했을 때, 순암은 고려 일대의 역사에서 고려의 왕들을 世家로 설정한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비판하고 本紀로 할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간행에 임한 영남의 남인 학자들은 이미 저자는 고인이 된 상태에서 조그마한 오자의 교정 이외에 본격적인 체제 자체를 바꿀 수는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암이 요청한 사항에 대해서 가능한 한 많은 보완을 하여 『휘찬여사』를 간행하였다. 그것은 『휘찬여사』의 범례에서 세가에 관련된 제3조항을 삭제하고 조그만 지적 사항들에 대해서 가능한 반영을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홍여하는 20세 때부터 우리나라 역사 편찬에 뜻을 두고 범례를 만들어 그에 따라 일생 동안에 걸쳐서 꾸준히 보완하는 작업을 거쳐서 『휘찬여사』를 편찬하였다. 목재의 제자들이 『휘찬여사』를 필사하여 목재 가숙에서 활용을 하고 있었으면서도 정작 100여 년 후에야 목판본으로 출판하기까지의 과정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 당대의 대표적인 역사학자인 순암 안정복의 비판을 거치면서 보다 완성된 목판본 『휘찬여사』가 나오게 되었다.
Sadae-Juui(toadyism) is a way of survival in the circumstance of one top polar system in traditional Asia world. Hwichan-Yeosa and Dongguk-Tonggam-Jegang compiled by Hong Yeo-Ha and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reveal the way of survival of Joseon Dynasty after the war of Imjin and Byongja. Hong Yeo-Ha as a Namin political bureaucrat and scholar has compiled Hwichan-Yeosa as the presentation of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Hwichan-Yeosa has not only been abstracted from Goryosa, but it also has complemented and revised Goryosa by Gangmok(an outline and details) style.
Hwichan-Yeosa and Dongguk-Tonggam-Jegang were new history books written by Gangmok style which was reflected Sadae-Juui(toadyism) after two great war. Mokjae Hong Yeo-Ha, who was a beaurocratic schola of Namin party, has compiled new version history book Hwichan-Yeosa. That was not only abridged the Goryosa about 1/3 but it reflected Gangmok style historical concept. While there were always set the legitimate Chinese dynasty in the center of history, Goryo dynasty was a feudal lords to them.
100 years after, Soonam Aha Jeonh-Bok also a Namin historian has criticized the style of Hwichan-Yeosa. Ahn has point out a problem naming on the annals of king Goryo as Sega(annals of lords), not Bongi(annals of king). But descendants and followers who published the Hwichan-Yeosa have not and could not revised except a small error like misspelling. Hong Yeo-Ha has made introductory criteria at 20 years old, complemented the contents and compiled Hwichan-Yeosa for life-long work. But it takes 100 years after to be pubished by woodcut printing edition while it has been read in his famil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