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태도와 효능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warenes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박현주 ( Park Hyun-ju ) , 권이정 ( Kwon Yijeong )
UCI I410-ECN-0102-2023-000-001078097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소재 3개 대학교의 유아특수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재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이 그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t-test, ANOVA, correlation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배경변인 중, 학년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다문화 태도, 다문화 효능감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유아와의 접촉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태도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고, 다문화관련 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교육 구현을 위한 교사양성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 grades taught (1-4), the types of place where h/she has grown up, religion, experience with children who have foreign parent(s), and experience taking multicultural course. For this purpose, 202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o analyze the data, an independent variable t-test,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and a Tuckey test was also used for a post hoc comparison. Throughout this study, these findings were found: 1) The grade being taught influences multicultural attitude, awarenes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2) Experience with children who have foreign parent(s) influence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3) Experience taking multicultural courses influences multicultural awareness. 4)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re correlated, and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re correlat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이론적 배경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