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 경험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경력이 7년 이상인 유아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유아특수교사로서의 직무경험을 알아보고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시간은 각 연구 참여자별로 50분에서 2시간 정도가 소요되었고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을 실시한 후 전사되었다. 전사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쌓인 눈 속에서의 힘겨운 발걸음’, ‘뿌연 안개 속에서 길 헤매기’, ‘엉킨 실타래 풀기’, ‘노련한 궁사’, ‘흐뭇한 미소’ 라는 5개의 주제와 그에 따른 16개의 부주제 그리고 51개의 코드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 교사의 직무 경험에 대해 논의하고 직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가 장애유아를 지도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work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public kindergarte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had an interview with each of f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ev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Each interview lasted 50 minutes to two hours, and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analysis of the transcribed contents of the interviews generated five themes, 16 sub-themes and 51 codes. The five themes were ‘difficult walking through deep snow,’ ‘wandering in thick fog,’ ‘unraveling tangled skein,’ ‘experienced archer,’ and ‘delighted smile.’ Based on these results, work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was discussed, and ways to improve the work skills was presente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to be able to devote more time and effort in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