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의 관점에서 본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의 실태 및 지원에 대한 요구
Operating Status and Support Needs for Family Support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배정혜 ( Bae Jung Hye ) , 노진아 ( Noh Ji Na )
UCI I410-ECN-0102-2023-000-001077621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유아특수교사가 필요로 하는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지원요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학교 유치부의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 실태와 가족지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 요구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유치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부모교육을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상담 방법을 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다수의 교사들은 가족지원 서비스의 내용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가족의 요구를 충분하지는 않으나 적절한 정도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자신들의 지식과 이해가 부족하고 연수의 기회 또한 부족하여 가족지원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그리고 특수학교 유치부 교사들은 부모 교육 및 상담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가장 많이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정서 및 심리 상담에 관련한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에 가족지원 서비스 운영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of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support needs for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t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for the results, most teachers implemented parenting education and they mainly used a counseling method. In addition, most teach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ntent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 and they moderately reflected family needs. Also, they mentioned a lack of teachers’ knowledge/understanding and training opportunities as obstacles for implementing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Furthermore, they expressed the highest demand for parenting education and counseling, especially counseling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needs. Finally, the study mad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