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SCILE(30)설문지를 요인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과학호기심 설문지인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먼저 한국어판 SCILE(30)설문지를 사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에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결과, ‘과학실천형’ 호기심, ‘확장형’ 호기심, ‘포용형’ 호기심 요인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15문항의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가 얻어졌다.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요인구조를 분석한 결과, 각 요인 간에 상관관계를 보여 과학호기심요인으로서의 공통성이 확인되었다.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의 전체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각 요인별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는 크론바흐 알파 0.700 이상으로 평가되어 과학호기심 설문지인 한국어판 SCILE(15)설문지는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설문지개발을 위한 설문 조사에 참석한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호기심에 대하여 ‘과학실천형’ 호기심, ‘확장형’ 호기심, ‘포용형’ 호기심 요인을 인식하고 있었다. 세 종류의 과학호기심 요인들에 대하여 일반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호기심요인들은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실천형’ 호기심요인, ‘확장형’ 호기심요인, ‘포용형’ 호기심요인을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초등예비교사는 과학호기심의 세 가지 요인 중에서 ‘확장형’ 호기심요인의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고, ‘포용형’ 호기심요인의 인식정도는 가장 낮은 특성을 보였다.
A Korean-version science curiosity questionnaire (Science Curiosity in Learning Environments [SCILE(15)]) was developed after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version SCILE(30) questionnai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version SCILE(30), and a factor analysis based on their responses was performed.
The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Korean-version SCILE(15) consisted of three curiosity factors: a ‘science practices’ factor, a ‘stretching’ factor, and an ‘embracing’ 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revealed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factors, thus confirming their commonality as a science curiosity factors. The Cronbach alpha for the reliability of all items in the Korean-version SCILE(15) and of items by factor was greater than 0.700. The Korean-version SCILE(15) was therefore evaluated to be reliable as a science curiosity questionnair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ILE(15) were aware of the ‘science practices’, ‘stretching’, and ‘embracing’ science curiosity factors. Analysis in a general linear model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acco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three science curiosity factor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iosity factors in terms of recognition. This cohor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stretching’ curiosity factor and the lowest level of recognition of the ‘embracing’ curiosity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