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 분석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박형민 ( Park Hyoung-min ) , 임채성 ( Lim Chae-seong )
UCI I410-ECN-0102-2023-000-001091610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실험 안전 인식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인식과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을 보통 이상 좋아하고, 과학 탐구 기능을 보통 이상 잘한다고 인식하며, 과학 지식을 보통 이상 가지고 있다고 인식한다. 코로나 19 상황 이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초등학생들은 과학 지식 보유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낮아졌다. 둘째, 전체 여덟 개의 유형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학생 유형인 상상상 유형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해 실험 수업(72.7%), 자연 탐구 수업(23.2%), 과학 지식 이해 수업(4.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수업 장소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과학실(58.1%), 때에 따라 다른 장소(34.4%), 교실(7.5%)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실험 수업에 대해 안전사고 발생의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둘째,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은 실험 기구 사용법을 이해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안전 장비 착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넷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응급 처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응급 처치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은 31.5%에 불과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With respect to science learning, students indicated liking science classes more than average, being good at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average, and having more scientific knowledge than average. Compared with before the COVID-19 pandemic, student confidence in retaining scientific knowledge had decreased markedly. Of the eight student types in the students’ awareness levels about affective·behavioral·cognitive domain, the HHH type―the most ideal―was also the most distributed. Students’ preferred science class methods were experimental (72.7%) and nature inquiry classes (23.2%); science knowledge classes were ranked a distant third (4.1%). Preferred class locations were the science lab (58.1%) and different places from time to time (34.4%); the classroom was ranked last (7.5%). With respect to lab safety,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have experimental classes, but more than half reported understanding how to use experimental equipment.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in the lab. They were not only well aware of the associated physical protection functions, but also of th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effects. Most students also recognized that first aid education is necessary, but only 31.5% reported understanding first aid methods. Based on tho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school a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