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H.헐버트 선교 방식의 현대적 적용
A Study on The Modern Appliance of H. Hulbert’s Missionary Methods
유성실 ( Rou Sung Sil )
복음과 선교 vol. 61 209-250(42pages)
DOI 10.20326/KEMS.61.1.209
UCI I410-ECN-0102-2023-000-001097258

130여 년 전에 처음엔 교사로서 그리고 후에는 선교사로서 내한(來韓)했던 H.헐버트는 그리스도인의 각종 사회적 활동과 복음전도를 분리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서로 일체인 것으로 간주되는 통전적 선교를 수행하였다. 즉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봉사와 책무는 복음전도의 또 다른 방법임을 헐버트는 일찍이 인식했던 것이다. 오늘날 한국 기독교가 쇠락해가는 상황에 직면해, 본 논문은 헐버트의 선교방식 가운데 현대적으로 적용 가능한 부분들을 살펴보고, 복음전도에 있어서 중시해야 할 것들을 찾아내어 한국 기독교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려 함에 초점을 두었다. 헐버트의 사회적 활동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적용 가능한 선교방식을 주목하게 되었다. 첫째, 헐버트는 시류를 따르지 않은 선교를 하였다. 이에 한국 기독교는 인본주의적인 사조를 배격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헐버트는 선교적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수행했다. 이에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사회적 참여와 활동을 통해 기독교에 우호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헐버트는 언론미디어 분야의 활동을 통해 선교하였다. 이에 그리스도인들은 언론에 자신을 노출시켜 선한 영향력을 확장해가야 할 것이다. 넷째, 헐버트는 교육으로 기독교 인재를 양성하였다. 이에 한국 기독교계는 학생들을 교육시켜 기독교 전사들로 양성해야 하며, 교사들에게 기독교의 사회공헌을 재인식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헐버트는 문화 방면의 활동을 통해 선교를 했다. 이에 문화 활동을 통해 선교적 접촉점을 늘려가야 할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기독교는 복음전도의 방법에 있어서, 이제 전략적이어야 하고, 조직적이어야 하며, 체계화되어야 하고, 과학적 효율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H. Hulbert came to Korea more than 130 years ago, first as a teacher and later as a missionary. He recognized Christian social activities and evangelism as inseparable, and regarded them as on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he carried out holistic mission, recognizing that Christian social service and responsibility were another way of evangelism. Today, we are facing a situation in which Korean Christianity is declining.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modern applicability of Hulbert’s missionary method, identifying the thing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evangelism,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Christianity should go. I noted the following applicable missionary methods in Hulbert’s social activities: First, Hulbert did missions that did not follow the trends of the times. Therefore, Korean Christianity must reject humanistic ideas. Second, Hulbert carried out a variety of social activities from a missional perspective. Therefore, Korean Christians should create a social atmosphere that is friendly to Christianity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Third, Hulbert missioned through his activities in the media. Christians should expose themselves to the media to expand their influence for good. Fourth, Hulbert nurtured Christian talent through education. Therefore,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should educate stu-dents to become Christian warriors and re-recognize the social contribution of Christianity to teachers. Fifth, Hulbert did missionary work through 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missional points of contact should be increased through cultural activities. Korean Christianity must now be strategic, organized, sys-tematized, and concerned with scientific efficiency in its methods of evangelism.

Ⅰ. 들어가는 말
Ⅱ. 헐버트의 선교 방식
Ⅲ. 헐버트 선교 방식의 현대적 적용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