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관료주의에 기반한 정부 운영은 정책 난제의 대표 사례인 코로나19에 따른 위기에 직면하면서 그 취약성이 드러났다. 이러한 경험은 위험회피, 조직이기주의, 명령과 통제에 순응하는 구조, 폐쇄적 의사결정에 익숙한 정부 운영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민첩하고 회복탄력성이 있는 정부를 설계해야 함을 보여준 계기가 되었다. 한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한 민첩한 초기대응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실질적으로 정책 난제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결론 짓기에는 이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조직의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역량을 탐색함으로써 정부의 민첩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정부조직의 민첩성을 강화하는 조직역량으로 조직의 자원관리 역량(지식관리, 정보공유), 조직의 의사소통역량, 조직의 학습역량을 영향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의 정부조직의 민첩성에 관한 연구들은 민첩성의 역할과 조직성과에 대한 효과 등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라면, 본 연구는 정부조직의 민첩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다양한 자원과 주요 내부역량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다.
The vulner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 based on traditional bureaucracy was revealed as governments faced the public health crisis caused by COVID 19,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wicked problem. This experience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need to design a more agile and resilient government, away from risk aversion, organizational selfishness, a structure that obeys command and control, and closed decision-making.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its agile initial response to COVID 19, but it is too early to conclude that it has the agility to respond to difficult challenges in practi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trategic ground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by exploring organizational capacities that affect organizational agility. In previous studies, the organization's managerial resource capacity (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 shar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capacit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were presented as determining factors of organizational capacities that strengthen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organizations. The results were tested using survey data of 500 public officials of central and regional local governments. Whereas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agility of governments analyze the role of agility and its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considers the various resources and major internal capacities of the organization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organizational agility in government 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