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200만명이 넘어서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개인 특성 및 환경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개인욕구, 적응능력, 조직생활, 사회적 지지로 크게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를 설정하고 종속변수로 조직몰입도를 설정하여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한국에서 근무 중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하였다. 응답자 중 유효한 200부를 바탕으로 SPSS 24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의 성취욕구, 언어적응능력, 상사 및 동료 관계, 직업의 미래비전, 사회적 지지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화적응능력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둘째,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크기는 사회적 지지, 상사 및 동료 관계, 직업의 미래비전, 언어적응능력, 성취욕구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ore than 2 million foreigners were staying in Korea.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empirically analyzed. A research model for empirical analysis was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independent variables by dividing them into four parts: personal desire, adaptability, organizational life, and social support and set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was conducted in a survey method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 based on 200 valid sample of th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oreign workers' desire for achievement, language adaptability,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future vision of jobs,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f cultural adaptability was not tested. Secon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 the order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future vision of jobs, language adaptability, and desire for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reign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