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테크 활용 수업은 수업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 및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수업 형태의 디지털 전환으로써,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형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271명의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관심기반수용모형(CBAM)을 활용하여 에듀테크 활용 수업 관심도 및 실행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교사의 관심도는 6단계(재초점)에서 가장 높은 관심수준과 0단계(지각)에서 가장 낮은 관심수준을 보여주었으며, 초·중등 모두 유사한 형태의 우상향의 상대적 강도 그래프를 나타냈다. 초·중등 교사의 최종 관심 단계 빈도는 학교군, 교직 경력, 연수 수강 경험, 수업 적용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과 1인 1기기 환경, 교실 내 보관 환경, 기기 관리 책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초·중등 교사의 실행형태는 이상적인 실행형태와 수용 가능한 실행형태가 수용할 수 없는 실행형태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등 교사의 실행형태는 성별, 교직 경력, 연수 수강 경험, 수업 적용 경험, 1인 1기기 환경, 교실 내 보관 환경에 따라 각 세부 실행형태의 구성 요소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군에 따른 차이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에듀테크 활용 수업의 관심수준 단계에 따라 모든 항목의 실행형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관심수준 단계가 높을수록 높은 실행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따른 에듀테크 활용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12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about edtech utilization in classrooms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revitalizing the adoption of edtech.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271 surveys from K-12 teachers with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 First, the stage of concern (SoC) showed the highest and lowest SoC in stage 6 (refocus) and 0 (perception) respectively. K-12 teachers showed similar patterns of relative strength graphs regardless of school types (elementary/secondary). The SoC of K-12 teacher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chool types (elementary/secondary), teaching period, training experience, and adoption experience. Second, we found that the innovation configuration(IC) of K-12 teachers had a higher proportion of the ideal and acceptable implementation than the unacceptable implementation.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school group.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IC depending on gender, teaching period, training experience, adoption experience, one to one device environment, and device management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Third, IC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oC that the higher SoC group had the higher IC. Based this study ’s results, we presented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doption of edtech utilization in classrooms for K-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