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더욱 대두된 온라인 문화 속에서 국내 CCM 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유튜브를 시청하는 온라인 문화를 수용하고 있어 연구의 범위를 유튜브 내 CCM 콘텐츠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콘텐츠의 다양성’과 ‘콘텐츠의 접근성’에 분석 기준을 두고, 해외와 국내를 대표할 만한 유튜브 채널 3개를 선정한 뒤, 해당 채널의 콘텐츠 중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유형, ‘워십뮤직(Worship Music) 콘텐츠’와 ‘워십뮤직 튜토리얼(Worship Music Tutorial) 콘텐츠’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CCM 유튜브 콘텐츠는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의 사례와 같이 다양한 촬영 장소 및 인원 편성, 카메라 각도나 워킹을 달리하는 등의 다채로운 연출방식 활용을 통해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선진사례들을 수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국내 CCM 콘텐츠의 경우 비기독교인들의 접근성이 매우 취약하므로, 기독인 대중가수와의 협연 등 해외의 우수한 선진사례들을 적절하게 도입하여 사회적 접근성을 제고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CCM 콘텐츠가 대중음악 콘텐츠의 중요한 한 분야로서 확고히 자리 잡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CCM contents in the online culture that is raised due to social distancing. Accepting the current online culture, where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nation watches YouTub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lected as CCM content within YouTube. And after selecting three YouTube channels that can represent overseas and domestic based on the criteria of ‘content diversity’ and ‘content accessibility’, the two types of CCM content of the chann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types of content to b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is thesis are ‘worship music content’ and ‘worship music tutorial cont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worship music content representing CCM content and worship music tutorial content necessary to develop i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versity and accessibility of content, and pointed out the improvement points of domestic CCM content derived from this. The effective development direction of CCM contents with diversity and accessibility in the growing online culture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