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군 교육과정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 육군 대위 지휘참모과정 제병협동작전 교육체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ilitary Curriculum Design - Focusing on Combined Forces Education System in Army OAC -
위진우 ( Jinwoo We ) , 전기석 ( Kiseok Jeon )
한국군사학논총 vol. 25 155-181(27pages)
UCI I410-ECN-0102-2023-000-00110492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계획단계에서의 의사결정 방법, 과목 조정 기준·절차를 개선함으로써, 「제병협동작전 교육체계」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제병협동작전 교육체계」의 교육효과 제고를 위해 제안된 3개의 개선방안을 AHP를 적용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최선안을 선정하였고, 다음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과목 조정기준을 정립하고 정립된 조정기준에 따라 현 편성과목의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써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훈련 2주 및 종합훈련 4주의 방안이 최선안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최선안 시행을 위해서는 96시간의 추가시간이 필요한데, 대위 지휘참모과정 편성과목을 과목 조정기준에 따라 삭제·전환·축소·통합을 검토한 결과, 보병학교는 166시간, 포병학교는 174시간, 기갑학교는 119시간의 추가시간 확보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방법과 개선방안은 군에서 교육과정을 설계 및 조정하고, 「제병협동작전 교육체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est plan for the 「Combined Forces Education System」 and the curriculum design plan by improving the decision-making method and subject adjustment criteria and procedures at the curriculum planning stage. First, the three improvement plans were compared by applying AHP, and the best was selected. Next, the subject adjustment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Delphi technique. In addition, the curriculum design plan was presented by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adjustment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 weeks of prior training and 4 weeks of comprehensive training were deduced as the best plan. Second, 96 hours of additional time are needed to implement the best pl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subjects provided in Army OAC based on subject adjustment criteria, additional hours of 166 hours for infantry schools, 174 hours for artillery schools, and 119 hours for armoured schools can be secured. The research methods and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signing and coordinating the curriculum in the military and improving the 「Combined Forces Education System」.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