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요시하는 시대가 확산됨에 따라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전체 86%가 여가활동에 대한 문항에서 ‘여가활동이 삶의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여가생활을 위한 국민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람 시 관람객들의 문화예술활동 결정요인 중 어떠한 요인을 고려하며 공연을 소비하는지에 대한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공연예술 관람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관람여부, 특성,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해 파악하고, 관람특성에 따른 관람결정 요인, 만족도 및 재관람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공연예술관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관람의 작품, 가격, 유통, 촉진에 대한 다양한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관객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연예술관람의 관객층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거주지역의 인근 주변환경 및 지역을 활용한 공연예술관람 행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공연예술관람 소비자인 관람객의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과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공연예술관람의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의 관람객 유치 및 재원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국가문화예술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the era of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spreads, the need for leisure activities is emerging. As leisure time increases, people's awareness level for leisure life is in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factors among the determinants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audience when watching the performing arts, and the factors of consumption of the performance.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viewing the performing art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of empirical audiences on the various determinants of works, prices, distribution, and promotion of performing arts viewing. Second, it is urgently necessary to secure an audience for viewing the performing arts. Third, there is a need for performing arts viewing events that util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gion of the residential area. Furtherm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lture and arts industry as basic data for attracting cultural and artistic audiences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