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1
18.97.9.171
close menu
Accredited
‘괴물’과 ‘정상’의 경계와 해체 - 18세기 ‘괴물 논쟁’과 퐁트넬의 「괴물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Fontenelle et la querelle des monstres au XVIIIe siècle
허지영 ( Huh Ji-young )
불어불문학연구 vol. 133 145-172(28pages)
DOI 10.18824/ELLF.133.05
UCI I410-ECN-0102-2023-000-001110921

18세기의 ‘괴물 논쟁’은 당시 프랑스 왕립과학아카데미를 뜨겁게 달군 주제이다. 과학아카데미의 종신서기였던 퐁트넬은 『왕립과학아카데미사』에 수록된 「괴물에 관하여」에서 이 논쟁을 정리하며 자신의 성찰을 덧붙인다. 본 연구에서는 18세기 괴물 논쟁의 쟁점을 파악하기 위해 중세부터 18세기까지의 괴물에 대한 인식과 담론의 변화를 추적하면서, 이 주제에 대한 퐁트넬의 사유를 분석하였다. 16세기 파레의 『괴물과 경이에 대하여』는 괴물의 문제를 합리성의 담론 속으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18세기에는 생명 과학과 해부학의 발전에 힘입어 괴물의 발생 원인에 대해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당시 과학적 논의는 여전히 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괴물에 관하여」에서 퐁트넬은 괴물에 관한 담론에서 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신의 섭리가 아니라 자연의 원칙만이 괴물이 출현하는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리는 괴물과 괴물이 아닌 것을 가르는 경계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우연’을 무한한 조합이 탄생하게 하는 자연의 결합 원칙으로 보는 퐁트넬의 사유 안에서, 괴물도 자연의 무한한 가능성 안에 있는 존재로 해석된다. 이후 모페르튀나 디드로가 보여줄 생명이 가진 물질성, 물질이 가진 생성의 힘에 대한 관념와 연결될 수 있는 퐁트넬의 사유는, 그 변화의 길목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La « querelle des monstres » au XVIIIe siècle était une polémique brûlante au sein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de France. Fontenelle, qui était secrétaire perpétuel à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exprime sa pensée à ce sujet dans Sur les Monstres. Dans cette étude, de manière à appréhender la problématique de la querelle des monstres, nous avons analysé la pensée de Fontenelle, en retraçant l’évolution de la perception et du discours sur les monstres du Moyen-âge jusqu’au XVIIIe siècle. L’oeuvre d’Ambroise Paré du XVIe siècle peut être interprétée comme une rationalisation du discours sur les monstres. Au XVIIIe siècle, le développement des sciences de la vie et de l’anatomie a permis d’apporter une approche scientifique sur la survenance des monstres. Cependant elle demeure sujette aux influences théologiques et métaphysiques. Fontenelle s’en affranchit, de sorte que seul le principe de nature, et non de providence divine, puisse faire apparaître des monstres. Il conçoit également la faculté de la nature à générer une variété infinie de combinaisons dans le « hasard ». Pour Fontenelle, les monstres appartiennent également à la nature, dans l’infini de ses possibilités. Sa pensée laisse de ce fait entrevoir l’idée de la matérialité de la vie et du pouvoir de création de la matière, qu’énonceront postérieurement Diderot et Maupertuis.

Ⅰ. 시작하며
Ⅱ. 본론
Ⅲ.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