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학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학교와 사회 환경적 측면의 요인 탐색
Exploring factors in terms of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level, grade, gender, and school location
정혜윤 ( Jung Hye-yun )
수학교육 62권 1호 151-173(23pages)
UCI I410-ECN-0102-2023-000-001109406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학교 수학 수업, 학교 수학 평가, 수학 교과서, 수학 사교육, 진학과 진로, 사회 분위기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학년과 전공, 학업성취도, 성별, 학교 소재지에 따른 고등학생 1,0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해 SPSS ver 29.0을 이용한 기술통계량, t 검정과 ANOVA,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 전체적으로 진학과 진로 및 학교 수학 수업이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성별에 따라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생 변수에 따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영향 미치는 각 요인의 세부항목에 대한 학생 반응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개선을 위해 수학 수업 방식의 다양화, 수학 교과서개선, 수학 사교육에의 올바른 참여, 진학과 진로에서 수학의 활용성 및 사회에서 수학의 중요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개선,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with respect to the school mathematics instructoin, school mathematics assessment, mathematics textbook, private mathematics education, college entrance and career, and social atmosphere. Considering students’ grade, major, academic level, gender, and school location, 1,029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9.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college entrance and career and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affected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Second,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level and gend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Third, according to students’ backgrou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responses to sub-categories of each factor. We suggested that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attitude on mathematics, diversity of the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improvement of the mathematics textbook, student’s appropriate participation in the private mathematics education, improvement of student’s perception of the utilization of the mathematics in the future and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itcs in the society, and parents’ emotional support are needed.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