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초등 예비교사들의 표현활동을 이용한 현장수업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Survey on satisfaction with on-site teaching programs using the expressive activities of elementary preparatory teachers
강민수 ( Kang Min Soo )
UCI I410-ECN-0102-2023-000-001108318
* This article cannot be purchased.

본 연구는 J교육대학교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표현활동을 이용한 현장수업 프로그램으로 만족도, 교수 및 교수강의 방법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표현활동을 이용한 현장수업 프로그램으로 내용, 필요성, 이해도, 다양성을 살펴보면 프로그램 만족도 매우 그렇다. 그렇다. 75.79%로 전반적으로 만족함을 보이고 있으며, 교수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 78.9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수강의 계획 대한 만족도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 80.00%로 나타났으며, 교육매체 및 시범 매우 그렇다. 그렇다. 87.37%로 나타났다. 또한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고 소수지만 만족하지 않게 조사되었다. 이에 교수는 지속적인 교수 방법론을 모색하고 강의에 대한 자기반성 및 성찰을 통해 연구하고 세심한 지도로서 효과적인 수업을 예비교사들에게 전달하여 학생들이 초등학교 현장에 나아가 무용을 지도할 때 자신감 있는 자세 그리고 준비된 교사로 신체표현 활동을 잘 지도 할 수 있게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the field class program using expressive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ory teachers of J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If we look at the content, need, understanding, and diversity of the on-the-job program using the expressive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preparatory teachers,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is very so. Apart from. At 75.79%,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or is very so. Apart from. It was relatively high at 78.95%.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syllabus is very so. Apart from. 80.00%, educational media and demonstrations very so. Apart from. 87.37%. Nor is it so. Very not, but it was investigated unsatisfactorily. Therefore, professors should seek continuous teaching methodologies, research through self-reflection and reflection on lectures, and deliver effective lessons to preparatory teachers with meticulous guidance, so that students can guid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with a confident posture and a prepared teacher when they go to the elementary school field to teach danc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