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인간의 욕망과 감정에 대한 스토아학파의 입장을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스토아철학이 도덕교육에서 갖는 의의를 구체적으로 해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스토아학파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이 제시한 금욕주의 윤리 이론의 토대를 이루는 세계관과 인간관을 살펴볼 것이다. 동시에 그러한 관점들이 인간의 감정과 욕망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스토아학파가 추구하는 행복한 삶의 양식이 무엇인지 해명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스토아학파가 추구하는 욕망과 감정에 대한 이성적 대응과 절제가 욕망과 불행한 감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피로사회의 개인들에게 조화롭고 질서 있는 삶의 기술을 보여준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불어 오늘날 도덕교육에서 스토아학파의 행복론을 다룰 때 논의할 필요가 있는 이론적 지점들을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will deal with Stoic philosophy as the art of life. In particular, I will focus on the limit and the meaning of Stoicism as philosophy for happy life in moral education. Firstly, I will look at the conception of the world and conception of the person of Stoicism. Secondly, I will clarify the way of happy life that the Stoic pursues in their lives. Lastly, I argue that Stoicism shows us the art of life which could control desires and emotions of human being in modern society. Furthermore, I will examine some theoretical points that we need to discuss with Stoicism in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