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인도 여성의 지위와 젠더 불평등의 변화
Changes in Women’s Status & Gender Inequality in India
아난드샴꾸마르 ( Shyam Kumar Anand )
인문사회 21 14권 1호 281-293(13pages)
DOI 10.22143/HSS21.14.1.21
UCI I410-ECN-0102-2023-300-001121309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양성평등을 추구하는 인도 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중대한 장애물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 헌법은 모든 영역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인도 여성에게 부여했다. 그러나 인도 사회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상당한 성별 불균형이 존재한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국제노동기구(ILO) 데이터 중 여성의 노동 참여율이 낮은 국가를 분석하고 여성의 발전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논의했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2010년대 이전의 인도 여성들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시기부터 2020년 초반까지 여성 정책, 사회복지를 포함해 주요 영역에서 일어난 변화를 평가한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 의하면 인도 여성들의 해방과 자립의 걸림돌은 교육 부족이다. 이는 인도 여성들의 조혼과 경제적 의존이라는 문제도 야기한다. 교육 기관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설립한다면 이 여성들의 고통은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significant obstacles faced by Indian women in their quest for gender equality. The Constitution of India has given Indian women equal rights with men in all spheres. However, even today, there is quite a gender imbalance in Indian society. In this study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data for low female participation in the workforce were analyzed and mechanism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women were discussed. This research examines the status of women in India before the 2010s and evaluates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significant areas, including women’s policy and social welfare since then to the early 2020s. According to this research, lack of education is the major obstacle that hinders the empowerment and emancipation of Indian women and often leads to the problem of child marriage and economic dependence. Setting up a greater number of educational centers may alleviate the pain of women to a large extent.

Ⅰ. Introduction
Ⅱ. Overview of Women’s Policy in India
Ⅲ. The Situation of Indian Women in the Early 2010s
Ⅳ. Changes in the Situation of Indian Women in the Late 2010s and Early 2020s
Ⅴ. Mechanisms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Women
Ⅵ.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