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Accredited
루소의 행복론
Rousseau on Happiness
김경근 ( Kim Kyungkeun )
역사학연구 vol. 89 283-323(41pages)
DOI 10.37924/JSSW.89.9
UCI I410-ECN-0102-2023-900-001127056

루소의 행복론은 자신의 불행한 외적 조건들로 인해 자연히 고독을 통한 내면의 행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인도되었다. 따라서 루소의 행복론을 다룬 대다수의 연구들, 즉 다수의 국외 연구들과 거의 모든 국내 논문들은 그 초점을 고독을 통한 행복 추구에 맞추고 있다. 하지만 비교적 근자에 영미권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루소의 행복론에 대한 ‘관습적 독해’를 재검토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들은 공히 루소 사상에서 인간관계를 통한 행복의 경로를 검토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는 루소의 행복론을 다룸에 있어 고독을 통한 행복(II) 뿐 아니라 인간관계를 통한 행복(III)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후자에는 동정심과 사랑이 포함되며 그것이 어떻게 개인의 행복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 두 경로는 루소의 행복론을 구성하는 두 축으로서 루소의 작품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그런데 문제는 둘이 서로 모순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고독과 사회생활이 양립할 수 없는 만큼 고독 속의 관조가 인간관계와 조화를 이룰 것으로 생각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둘을 나란히 제시하는 데 그친다면 그건 풀어야 할 과제를 남겨두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이에 우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둘의 관계를 나름대로 탐구해보고자 했다.(IV) IV의 결론, 즉 이 연구의 결론으로 우리는 행복의 경로로서 둘은 보기와 달리 서로 모순되거나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이며 서로 연결된다는 것, 요컨대 고독을 통한 자기 성찰이 성공적인 인간관계의 요건이라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Regarding happiness, Rousseau was naturally led into the pursuit of the happiness of inner self due to his personal unhappy conditions of life. Thus most of the studies on Rousseau’s theory of happiness focus on the pursuit of happiness through loneliness. But some recent studies, particularly anglo-american, are beginning to revise the ‘conventional reading’ of the works of Rousseau on happiness. They pay attention to the happiness through human relations. So we, in our study on Rousseau’s theory of happiness, have tried to examine the two paths of happiness in our own way: happiness through loneliness(II) and happiness through human relations(III). The latter comprises pity and (sexual) love. We can easily find the two paths in Rousseau’s works. But the problem is that each of the two seems contradictory. As loneliness and social life seem incompatible, we can’t consider that the lonely reflection and human relations would be harmonious. So if we suggest the two paths side by side, that means leaving behi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So we have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the two paths.(IV) The conclusion of IV or that of this study is that the two paths of happiness are, contrary to appearance, neither contradictory nor uncompatible but either continuous or connected. It means that the self-reflection in loneliness is prerequisite for successful human relations.

Ⅰ. 머리말
Ⅱ. 고독과 행복
Ⅲ. 인간관계와 행복
Ⅳ. 고독과 인간관계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