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최근 신어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하여-2018~2020년 신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Recent Newly-coined Words - Focusing on Neologisms from 2018 to 2020 -
서혜진 ( Seo Hye Jin )
인문과학 vol. 88 5-36(32pages)
DOI 10.31310/HUM.088.01
UCI I410-ECN-0102-2023-000-001125393

본 연구는 최근 생성된 신어의 생성 환경을 살펴보고 그 사회문화적 특성을 논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신어는 언어 공동체의 다양화와 밈 문화의 발달로 인해 생성 환경의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신어는 현시대의 사회문화적 모습들을 담고 있게 되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온라인 속 삶의 보편화’, ‘차별 표현의 만연화’, ‘자기 지향적 사고로의 전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어는 단순히 새로운 표현으로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한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담고 이를 통해 언중의 생각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recently coined new words. Recently, the environment for new word formation is changing because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speech community and the rapid evolution of meme culture. In addition, newly coined words contai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recently coined new words include ‘universalization in our online lives’, ‘a vast spread of hate speech’, and ‘transition to self-oriented thinking’.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w words and find out what people are thinking these days.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 연구 및 자료 소개
Ⅲ. 최근 신어의 생성 환경
Ⅳ. 최근 신어의 사회문화적 특성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