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이른바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된 기술의 진보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가 미치는 일자리에 대한 위험 그리고 코로나19의 대유행에 의한 노동시장 충격을 사회적 위험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사회적 위험이 불안정 노동의 확대 및 분절된 노동시장구조 속에서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사회적 위험을 개인의 인식 차원에서 다루면서 미래일자리에 대한 인식으로 구체화하여 노동시장의 위험에 따른 인식 차이로 접근하였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에 대한 인식 및 노동시장 지위를 중심으로 분석을 이어나갔다. 분석의 결과 노동시장에서 위험의 경험은 미래 일자리 인식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으로 이어졌고, 사회 및 노동제도에 대한 인식 역시 일자리 전망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은 노동자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노동자 집단일수록 자신의 일자리에 대한 기술 변화의 영향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차이는 위험의 경험과 결합하여 일자리 위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더욱 확대하고 있었다.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위험의 경험이 노동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가진 지위에 따라서 기술 변화에 따른 일자리 전망 또한 차별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defined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isk of jobs,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as social risks, and demonstrated that such social risks could have a differential impact on workers in the expansion of precarious work and fragmented labor market structure. To this end, this study dealt with these social risks at the level of individual awareness, embodied them as perceptions of future jobs, approached them a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labor market risk,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system and labor market statu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risk in the labor market led to a tendency to view future job perceptions negatively,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labor systems was also influencing job prospects.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se job risks differed depending on the worker group, and the relatively unstable worker group perceived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s on their jobs more negatively.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tatus in the labor market was combined with the experience of risk to further exp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job risk. Thi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risk in the labor market may also appear in a discriminatory form depending on the status of workers in the labor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