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조절곤란 프로파일과 그 하위요인인 불안/우울, 공격행동, 주의집중문제가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사회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폭력 청소년 상담 프로젝트”를 위해 학교폭력 문제로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그리고 경상도 지역의 상담센터에 의뢰되어 상담을 받은 가해 청소년 115명(남자 81명, 여자 34명)이었다.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6-18)와 다면적 인성검사-청소년용(MMPI-A)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조절곤란 프로파일과 그 하위요인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고, 반사회성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또한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조절곤란 프로파일과 그 하위요인이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사회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품행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조절곤란 프로파일과 반사회성에 대해 평가하여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pathic deviation on the influence of K-CBCL 6-18 dysregulation profile and its subtypes, including anxious/depression, aggressive behavior, and attention problems, on the conduct problems of adolescent school bullies. A total of 115 school bullies(81 males, 35 females) from counseling center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ho were participating in the “School Violence Adolescents’ Counseling Project” and their parents or residential caregiv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K-CBCL 6-18 and MMPI-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dysregulation profile and its subtypes significantly predicted conduct problems, as did psychopathic deviation.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pathic deviation on the influence of dysregulation profile and its subtypes on conduct problems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ing in dysregulation profile and psychopathic deviation is importa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onduct problems of adolescent school bul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