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st Child Counselors
김민지 ( Kim Min-ji ) , 진미경 ( Jin Mi-kyoung )
DOI 10.17641/KAPT.26.1.1
UCI I410-ECN-0102-2023-100-001133103

본 연구에서는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아동상담센터, 복지관 내 상담실 등 아동상담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아동상담자 146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단축형 척도(IUS-12), 수퍼비전 관계 척도(K-S-SRQ), 아동상담자 의욕상실 척도(Burnout Inventory)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수퍼비전 관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수퍼비전 관계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각 하위요인별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퍼비전 관계 총점과 그 하위 요인인 성찰적 교육과 구조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퍼비전 관계 총점, 성찰적 교육, 구조화가 높은 경우 아동상담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낮더라도 심리적 소진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아동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수퍼바이저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전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betwe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A total of 146 child counselors working at child counseling center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it follows. First,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 counselors’ level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mong the total scores and sub-factors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total score of the supervisory relationship, reflective education and structure exhibit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particular, these effects were observed to more significant when child counselors’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vel was low.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more educational and structural supervision to diminish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st child counselo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