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 특성을 분석하여 여성 결혼이민자의 심리 진단 및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보완 도구로서 PPAT 그림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 결혼이민자 155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수준을 측정하고 PPAT 그림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에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 상·하위집단 간에 PPAT 그림검사에 대한 반응 특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 형식척도 항목 중 공간, 논리성, 선의 질, 사람, 회전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내용척도에서는 사람에 사용된 색의 수, 인물의 실제에너지 ‘사과에 손을 뻗은’, 인물의 얼굴 방향 ‘뒷면’, 환경과 세부묘사 ‘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에 대한 반응 특성 차이를 검증한 결과형식척도 항목 중 내적에너지, 문제해결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내용척도에서는 인물의 성별 ‘평가 못 함, 여성’, 인물의 얼굴 방향 ‘뒷면’, 인물의 나이 ‘유아 아동’, 사과나무, 환경과 세부묘사 ‘꽃, 울타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PPAT 그림검사 반응 특성 차이를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PPAT 그림검사가 여성 결혼이민자의 심리진단 및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보완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PAT test as a supplementary tool for psychological diagnosis and for predicting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by analyzing the PPAT respon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level.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levels were examined and the PPAT test was conducted for 155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of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i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ce, logic, line quality, person, and rotation in terms of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to the PPAT test between the group with high parenting stress and the group with low parenting stres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erms of conte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used for person, actual energy of the person ‘reaching out for the apple’, the face direction of the character ‘back’ and the description of environment and detail ‘animal-bird’. Third, substantial disparities in implied energy and problem-solving were verified in terms of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to the PPAT depending on the self-efficacy level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s face orientation ‘back side’, age, apple tree, and the description of environment and detail ‘flower, fence’ on the content scale. This study validated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PAT test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PAT could be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for psychological diagnoses and predicting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in female marriage immi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