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Accredited
한일사전에 나타난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cabulary Information of Multiple Parts of Speech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高恩淑 ( Ko Eun-sook )
DOI 10.21808/KJJE.62.05
UCI I410-ECN-0102-2023-700-001140577

본 연구는 한일사전에 나타난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 기술에 관해 조사 분석한 것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하는 <동형다품사>는 모양이 같으면서 [동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쓰이는 단어를 말한다. 한국어에는 형태가 동일하지만 복수의 품사로 사용되는 단어가 존재한다. 즉 이와 같이 어기가 같은 단어가 형태가 동일하고 동사와 형용사로 사용되는 것에는 【감사하다 / 고르다 / 굳다 / 까지다 / 늦다/ 당황하다/ 더하다 / 모자라다 / 밝다 / 있다 / 크다 / 흐리다】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대상 어휘를 중심으로 광복이전 발행한 한일사전, 광복이후 발행한 한일사전, 일본에서 발행한 한일사전으로 나눠 대상 어휘의 정보를 시기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삼은 한일사전에서 대상 어휘의 표제어 등재 여부, 품사 정보, 의미 정보를 조사하여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광복이전 발행한 사전에는 ‘늦다/ 모자라다/ 밝다/ 있다/ 크다/ 흐리다’가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당황하다’는 ㉯『鮮和新辭典』에만 표제어 등재 정보가 있다. 광복이전의 사전은 동사와 형용사 품사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광복이후 발행한 한일사전과 일본에서 발행한 한일사전은 대부분 표제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사전에 따라 등재되지 않은 단어들도 발견된다. 품사 정보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동사와 형용사 각각의 표제어로 정보를 제공하는 사전이 있는 반면, 하나의 표제어 안에 하위 품사 정보로 제공하는 경우도 다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어에서도 품사 문제로 자주 제기되는 ‘있다’는 한일사전에서 동사와 형용사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만, ㋑『コスモス朝和辞典』과 ㋓『朝鮮語辞典』 2종에서만 품사 정보는 [존재사]로 제시되어 있다. 외국어 학습을 할 때 단어를 이해하고 사용함에 있어 사전 정보는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일사전의 정보 제공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한 본 연구는 앞으로 사전편찬의 방향과 올바른 정보 제공의 길잡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cabulary information technology of multiple parts of speech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In this study, ‘multiple parts of speech’ refers to a word that is used as a verb as well as an adjective. In other words, there are Korean words that have the same form but are used as multiple parts. The vocabulary subject to this study is as follows: ‘감사하다, 고르다, 굳다, 까지다, 늦다, 당황하다, 더하다, 모자라다, 밝다, 있다, 크다, 흐리다.’ An information analysis of Korean-Japanese dictionaries was carried out by period, focusing on these target vocabularies that appeared i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published before liberation and those published after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and those published in Japan. This study analyzes and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providing information on Korean-Japanese dictionaries,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can be used as a guide to the use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1. 머리말
2. 연구 방법 및 연구 자료 선정
3. 동형다품사의 어휘정보 분석
4. 마무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