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8
18.97.14.88
close menu
Accredited
문화요소 기반의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전략 연구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Brand Design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Cultural Element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Urban Brand Design in Namwon Culture City
이태은 ( Lee Tae-eun )
DOI 10.25111/jcd.2023.82.30
UCI I410-ECN-0102-2023-600-001138901

국내외 도시 간 다경쟁이 심화되며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지속적인 높은 관심과 투자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에 각 도시의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 반영이 중요하게 되었으나 실증적인 체계화의 정립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문화적 요소를 정립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시브랜드 디자인을 이해하고 전형연(2008)이 분류한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구성요소를 보완하여 자연적 요소, 역사적 요소, 현대적 요소로 정리하였다. 전술한 요소를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였다. 남원문화도시위원회의 10명의 위원들에 의하여 1차에서 선택된 4개의 디자인은 남원시청의 도움으로 남원 시민의 참여와 의견수렴을 위한 2019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15일간 투표를 통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이후 관계자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도시브랜드를 확정하고 도시마케팅에 실제 활용하였다. 이러한 이미지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체계적 개발전략이 실증적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As many competition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ities intensify, they continue to show high interest and investment in urban marketing using urban brands. To this end, it has become important to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each city in the urban brand design, but the establishment of empirical systematiz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duce urban brand design with a more systematic and strategic approach by establishing cultural elements of urban brand design.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urban brand design was understood and the image components of the urban brand classified by Jeon Hyung-yeon (2008) were supplemented to organize them into natural, historical, and modern elements. Tho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Namwon Cultural City urban brand. One of the four designs selected in the first round by 10 members of the Namwon Culture Cities Committee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aking a 15-day vote from June 15 to June 30, 2019 for gathering opinions from Namwon citizens with the help of Namwon City Hall. After that, the city brand was confirmed through a meeting of officials and experts, and it was actually used for urban marketing. It is hoped that this systematic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image component analysis will be used for basic data for empirical design.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국내외 도시브랜드 요소별 사례조사
4. 남원문화도시 도시브랜드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