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7.48.105
3.147.48.105
close menu
KCI 등재
팝업스토어의 체험 유형과 소비 가치 및 브랜드 태도 상관관계 연구 -Z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pop-up store experience type, Consumption value and brand attitude -Focused on Generation Z
김수빈 ( Kim Subin )
UCI I410-ECN-0102-2023-600-001138663

시장의 주 소비층으로 성장한 Z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팝업스토어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Z세대의 특징적인 소비성향과 팝업스토어의 체험 유형, 브래드 태도 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팝업스토어의 체험 유형, Z세대 소비 가치, 브랜드 태도 항목을 선정하여 Z세대에게 설문을 시행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Z세대의 소비 가치와 팝업스토어의 체험 유형, 브랜드 태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Z세대의 개인 지향적 상품 경험 가치는 팝업스토어의 오락적, 심미적, 일탈적 체험과 높은 영향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브랜드 태도와도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판단의 중심에 자신을 두는 Z세대의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 추측된다. 본 연구는 Z세대의 소비 가치와 팝업스토어의 체험, 브랜드 태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세부 항목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으로서 팝업스토어의 체험 구성 마련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Pop-up stores are in the limelight as a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to target Generation Z, who have grown into the main consumer group in the market. Therefore, understand the influ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 consumption propensity of Generation Z, the experience type of pop-up store, and Brand attitud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pop-up store experience types, Generation Z consumption values, and brand attitudes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Generation Z.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consumption value of Generation Z, the experience type of pop-up stores, and the brand attitude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of Generation Z had a high influence on the entertainment, aesthetic, and escapist experiences of the pop-up store, and it had a high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These results are presumed to b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who place themselves at the center of judgment, are also reflected in the pop-up stor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epare the experience composition of pop-up stores as a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Z's consumption value, pop-up store experience, and brand attitude, and examining the influence of detailed items.

1. 서론
2. 이론 고찰
3. 연구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