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5
18.97.14.85
close menu
Candidate
시인의 실존 :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에 관한 연구 1
Existence of Poet : A study on Kierkegaard's Concept of 'Poet' and 'Poetry' 1
임규정 ( Lim Gyu Jeong )
철학·사상·문화 vol. 14 185-213(29pages)
UCI I410-ECN-0102-2023-100-001153952

논자는 이 논문에서 키르케고르의 실존사상을 자신이 ‘시인’이며 자신의 저작은 ‘시적’이라는 키르케고르의 주장과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논자는 먼저 그의 삶을 살펴보고, 또 그의 삶이 키르케고르의 이른바 실존의 삼 단계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논자는 구체적으로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키르케고르는 그의 전 저작에 걸쳐서 자신이 ‘시인’이고 또 자신의 글은 ‘시’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은 그의 저술활동 전체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논자는 졸고 [가능성의 현상학-키르케고르의 실존의 삼 단계에 관한 소고]에서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예비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후속작업으로 본고에서 논자는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에 대한 첫 번째 연구로서 심미적 파토스와 상상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와 다음에 이어질 정조, 공감 및 시적 상상, 그리고 실험 등의 연구를 통해 논자는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을 해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논자는 그의 저술과 일지 등에서 언급되고 있는 ‘시인’과 ‘시’의 개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주장과 그의 삶의 연관관계를 이론적으로 해명할 것이다.

In this treatise, I tried to study Kierkegaard’s existential philosophy in terms of his insistence that he himself was a poet and his writings was poetic. At first, I looked into his life, and examined which stage it belonged to among the existential stages. In this respect, I tried to make clear his concepts of “poet” and “poetry” concretely. Kierkegaard argued, over all of his writings, he was “a poet” and his writings were “poetic.” That is to say, Kierkegaard’s concepts of “poet” and “poetry” is said to be related to all of his writings. In “Phenomenology of Possibility - An Essay on Kierkegaard's Three Stages of Existence,” I worked out a preliminary study for understanding Kierkegaard's character of "poet" and "poetry". As it’s following study, in this treatise, I studied Kierkegaard’s concepts of the aesthetic pathos and the imagination as the first study on his concepts of “poet” and “poetry.” I will work out those concepts in this study and the following study on the mood, the sympathy, the poetic imagination and the experiment. For this purpose, I will mainly examine those concepts mentioned in his writings, journals and papers, and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his such insistence and his life.

들어가는 말
1. 시와 상상
2. 상기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