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는 분석판단과 종합판단의 구분으로부터 선험적 지식의 종류를 확장하고 또한 그것의 성격을 명시함으로써 선험적 지식의 전통적 개념을 완성한다. 칸트의 인식론에 대해서 지금까지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고, 그들 중 하나는 칸트가 제시한 선험적 지식의 종류와 성격에 관한 것이었다. 칸트는 종합적인 선험적 지식의 실례들을 제시함으로써 선험적 지식이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선험적 지식의 성격으로 필연성과 보편성을 제시하여 선험적 지식과 필연적 지식을 동일시한다. 칸트의 이러한 견해는 많은 학자들, 특히 논리실증주의에 의해 거센 비판을 받는다.
논리 실증주의는 선험적 지식을 분석판단으로 한정하고, 언어적 사용에 관한 하나의 규약으로서 세계에 대해 어떤 정보도 제공해주지 않는 비사실적 명제로 간주한다. 그러나 브랜샤드는 선험적 지식에 대한 논리 실증주의 주장을 지나친 것으로 비판한다. 논리 실증주의에 대한 브랜샤드의 비판과 설명은 칸트의 선험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은 물론 사변철학의 전통에 힘을 실어준다.
그러나 브랜샤드는 자신의 정합설에 따라 필연성을 경험적 지식과 선험적 지식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을 거부한다. 그래서 그는 필연성을 선험적 지식의 표식으로 삼았던 칸트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으며, 선험적 지식은 분석적이며 필연적 명제라는 논리 실증주의의 입장도 거부한다. 결국 그는 크립키와 함께 선험적 지식은 필연적이며 분석적이라는 등식을 무너뜨리는데 일조한다.
The traditional concept of a priori knowledge was completed by Kant. He extended a kind of it and specified its nature by classifying analytic and synthetic judgments. Many of issues about Kant's epistemology have been raised so far, one of them was about the kind and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suggested by the Kant. By giving examples of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Kant insisted that a priori knowledge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fact. In addition, by regarding necessity and universality as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he argued that necessary knowledge is a priori knowledge. This view of Kant has been criticized by many scholars, especially Logical Positivists.
Logical Positivists contend that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judgment, the reports of linguistic usages, conventions and they assert nothing about facts or world. However, B. Blanshard criticizes Logical positivism's argument as too excessive. His view on a priori knowledge has room for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suggested by the Kant, and room for the tradition of philosophical speculation. But according to the coherence theory, Blanshard denies that only a priori knowledge is necessary. So not only he does not agree Kant's argument, but also rejects the view of logical positivism that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 necessary. Eventually, he, along with Kripke, denies an equation that a priori knowledge is analy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