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자크 데리다의 사진론 -지연 가능성으로서의 사진-
Jacques Derrida’s Work on Photography -Photography as Possibility of Delay-
황선영 ( Whang Sun Young )
철학·사상·문화 vol. 27 175-192(18pages)
UCI I410-ECN-0102-2023-100-001153356

본 연구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사진에 관한 텍스트 속에서 사진과 철학이 어떻게 구분 불가능한 방식으로 겹쳐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데리다의 사진론은 사진 이미지에 관한 철학적 고찰이 아니라 사진과 철학이 경계 지을 수 없으며, 서로가 서로를 가능하게 해주는 전제 조건이라는 것을 이야기한다. 데리다의 사진 이미지에 대한 사유는 철학 전반에 걸친 핵심 사상들을 관통하면서, 재현, 시간, 죽음, 애도, 특이성과 반복 등과 연결된다. 데리다의 사진에 관한 텍스트들 중 하나인, 『아테네라는 잔여물(Demeure, Athènes)』에서 이러한 철학과 사진에 관한 사유가 잘 나타나 있는데, 특히 지연 개념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면서 사진 이미지의 존재론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빛과 그림자의 놀이인 사진 이미지는 삶과 죽음, 현전과 부재, 모든 대립 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공간이며, 의미 체계가 완전히 재현할 수 없는 나머지이다. 데리다의 사진에 관한 텍스트를 통하여, 지연으로서의 시간, 유령적 이미지, 언어의 잉여물로서의 사진 이미지 속에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열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n analysis of Jacques Derrida’s work on photography and to show how photography and philosophy overlap in an indistinguishable way. Derrida's theory of photography is not a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photographic images, but rather a precondition for making one another possible. It contains Derrida’s important concepts and centers around questions of the representation, time, death, mourning, singularity and repetition. Through one of Derrida’s texts on photography, Demeure, Athènes, this study tries to think and to st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photography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time delay. A photographic image, which is a play of light and shadow, is a space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life and death, presence and absence, or all of the conflict structures, and is impossible to represent completely. Through Derrida’s work on photography, this study examines the photographic image as the time delay, spectral image, and remains of language, and opens the reader to a new way of thinking.

1. 들어가는 말
2. 아포리아와 심연
3. 지연 가능성으로서의 사진
4. 경계로서의 이미지
5. 재현을 넘어서는 이미지
6.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