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4
18.97.14.84
close menu
Excellent Accredited
생활스포츠 참여자의 스포츠 안전교육 및 보험의 필요성 인식 영향 요인: 부상 경험이 있는 팀 스포츠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성훈 ( Seonghun Lee ) , 최준규 ( June Kyu Choi )
DOI 10.23949/kjpe.2023.1.62.1.16
UCI I410-ECN-0102-2023-600-001160727

본 연구는 생활스포츠 참여자의 스포츠 안전과 관련한 지식수준과 스포츠활동습관이 스포츠 안전교육 및 보험(공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포츠안전재단에서 수행한 ‘2019 스포츠 안전사고 실태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부상경험이 있는 팀 스포츠 참여자 1,346명을 대상으로 참여자의 안전 교육 및 보험 필요성 인식 수준과 안전지식, 스포츠활동습관, 응급처치 지식, 총부상 경험, 참여경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1,346명의 표본에 대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생활스포츠 참여자가 자신이 참여하는 스포츠 안전수칙을 잘 알고 있거나 안전사고 예방 또는 대처 방법을 잘 숙지하고 있을수록 스포츠 안전교육의 필요성이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험 등에 가입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더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활동 참여에 있어서 안전과 관련한 사항을 잘 이행하고 실천하는 참여자일수록 스포츠 안전교육 필요성과 보험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스포츠 참여자의 응급처치 지식수준, 총부상 경험, 참여경력은 안전교육 및 보험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포츠 안전에 대한 안전의식과 스포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예방적·사후적 방안의 필요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관련 문헌의 논의를 확장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포츠 안전교육 참여를 확대하고 스포츠 보험(공제) 서비스의 보급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safety-related knowledge level and physical activity preparations on the awareness of necessity for education on sports safety and insurance(mutual aid) among sport participa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is study, we used the raw data of ‘the 2019 Sport Safety Accident Data’ conducted by the Korea Sports Safety Found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awareness of necessity for education on sports safety and insurance, sports safety-related knowledge, physical activity preparations, first aid knowledge, injury experience in sports activities and years participating in team sport using 1,346 team sport participants who have been injured. A total sample of 1,346 participants were utilized in data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sports safety-related knowledge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awareness of necessity for education on sports safety and insurance. Secondly, sport participants who implemented physical activity preparations regularly showed a tendency to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necessity for education on sports safety and insurance. Thirdly, the result, however, revealed that the influences of first aid knowledge, injury experience in sports activities, and years participating in team sport were not significant.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examined and further discu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wareness of sports safety and the necessity of precautionary and ex post facto measures. The research also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