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4.50
3.144.4.50
close menu
KCI 등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 내 비시장 노동의 성별 불평등 변화
Effects of COVID-19 on Gender Inequality in Household Non-Market Labor
이태 ( Tai Lee ) , 안준홍 ( Joonhong Ahn )
UCI I410-ECN-0102-2023-300-001177134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7~8차 정보를 이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의 확산이 가정 내 가사 및 돌봄 노동의 성별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가정 내 비시장 노동 분담의 부부간 상대적 분담률을 성별 불평등으로 정의하고, 전업주부를 포함한 여성과 남성의 경제활동 유형에 따라 6가지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유형에 따라 코로나19 기간 가정 내 비시장 노동 성별 불평등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코로나19 기간을 명확히 통제하지 않은 결과와 통제하였을 때 불평등의 결과가 매우 다르게 추정되었다. 먼저, 코로나19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여성이 전업주부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그룹에서 가사 노동의 불평등도가 증가하였다. 돌봄 노동의 경우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의 효과를 통제하면, 가사 노동 불평등에 있어 모든 그룹에서 유의미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평일 돌봄 노동의 경우, 모두 유의미하게 불평등이 증가하였다. 특히, 여성이 전업주부인 경우, 평일 돌봄 노동의 불평등도가 가장 많이 악화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전면적인 돌봄 공백이 발생하면서, 이를 메우기 위한 많은 정책이 시행되었지만, 정작 돌봄 노동의 가장 큰 부담을 받은 전업주부는 정책 사각지대에 놓였다. 이번 팬데믹 기간을 경험으로, 가정 내 비시장 노동의 불평등이 개선되도록 공공 돌봄 시스템 마련과 함께 가사 및 돌봄 노동이 남성과 여성 모두 주체적 가치관을 갖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VID-19 effects on the gender inequality of housework and caring work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7th and 8th waves, which the 8th wave covers COVID-19 times. We define relative non-market labor time as the household gender inequality index and distinguish six sub-groups (including housewife) to estimate changes in household gender inequa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estimates are substantially different, whether explicitly controlling for COVID-19 times or not. Without consideration of COVID-19 times, household gender inequality of the housework has increased in sub-groups except when a woman is a housewif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groups for the caring work. However, by explicitly controlling for the COVID-19 effects, we cannot find any changes in inequality between sub-groups, but the gender inequality of the caring work on weekdays has increased in all sub-groups, especially in the housewife groups. Although there are many policies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e caring deficit due to COVID-19, a housewife has been put blindsight of the policies for the caring work. To improve household gender inequality, public caring work systems are necessary as public policies and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for the household non-market labor.

Ⅰ. 서론
Ⅱ. 가정 내 비시장 노동의 불평등도 측정
Ⅲ. 코로나19에 따른 가정 내 비시장 노동 불평등도 변화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