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환경위기는 환경에 관한 인간의 잘못된 가치관에서 비롯되었으며, 따라서 근본적인 해결책은 환경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체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그것에 큰 영향을 주는 교사들의 가치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환경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관을 이해한 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환경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환경사회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New Environmental Paradigm)과 그것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척도(NEP Scale)를 살핀 뒤 연구참여자들의 환경인식을 지배적인 사회적 패러다임 유형(DSP형)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유형(NEP형), 더 세부적으로는 강한 DSP형과 약한 DSP형, 그리고 강한 NEP형과 약한 NEP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 틀을 구안하였으며 학생 10명, 교사 10명으로 총 20명의 연구참여자들과 면담을 한 뒤 분석틀에 따라 그들의 환경인식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 20명 중 강한 DSP형에 속하는 참여자 4명과 강한 NEP형에 속하는 참여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총 15명이 약한 DSP형과 약한 NEP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 참여자의 경우 8명의 학생이 약한 DSP, 혹은 약한 NEP형의 환경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달리 교사의 경우 7명이 DSP형에 가까운 환경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표면적으로는 동일한 환경인식을 드러내 보이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내면의 가치관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DSP형의 참여자들이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여기고, 또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에 있어서는 NEP형의 참여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생태지향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 왜 그렇게 해야 하며, 그렇게 노력해야하는 것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와 같은 질문에 대해서는 인간을 위해서 라고 답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전형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 모두가 현재의 환경상태 및 그 심각성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앞으로의 생태위기 및 자연의 균형 파괴의 가능성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으나 그것을 자신의 문제라고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금까지 우리를 지배해왔던 가치관이나 생활 태도와는 상당히 다른 것들을 요구하므로 쉽게 판단을 내리지 못하고 갈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교육이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을 자신의 문제로 여길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교사부터 생태지향적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Today’s environmental crisis originated from people’s wrong view of the environment. Thus, a fundamental solution for the crisis is to establish a value system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is, first we need not only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 environment but also to understand teachers’ value system, which affect their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underst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by analyzing their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ew environmental paradigm discussed in environmental sociology and typify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 new environmental paradigm scale devised to measure the new paradigm. Then, we designed an analysis frame suitable for analysis and typify environment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typ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pplied in this study were largely dominant social paradigm (DSP) type and new environmental paradigm (NEP) type, and they were subdivided into strong DSP type and weak DSP type and strong NEP type and weak NEP type, respectively. After that, we interviewed 20 students and teachers, typified their environmental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the 20 participants, 4 were of strong DSP type, 1 of strong NEP type and the other 15 of weak DSP type or weak NEP type. In particular, 8 out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weak DSP type or weak NEP type. Different from the studies, 7 teachers showed environmental perception close to the DSP type. it was found that, even if environmental perception looks identical outwardly, inner value varies significantly among individuals. That is, participants of DSP type was as ecology-oriented as those of NEP type in that they regarded environmental problems as serious and believed that the environment must be protected, but they were found to have the typical human-centered value by replying “For human beings” to the question of “Why do you have to do so and make such effo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lthough all of the participants are fully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participants do not accept it as their own problem and that they are hesitating in conflict because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ontradict the values and living attitudes that have been prevalent among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