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경력개발제도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적응성 및 인사제도 공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The Effect of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on Career Success: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Fairness in Personnel System
정용덕 ( Yong-duk Jung ) , 이철기 ( Cheol-ki Lee )
UCI I410-ECN-0102-2023-500-001191876

본 연구는 경력변화 환경속에서 경력개발제도를 경험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제도, 경력적응성 및 경력성공의 관계와 인사제도공정성과 경력적응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적응성은 경력개발제도와 경력성공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사제도 공정성은 경력개발제도와 경력성공 및 경력개발 제도와 경력적응성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개발제도와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인사제도공정성의 조절효과는 경력적응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개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경력적응성 및 인사제도공정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경력개발의 제 특성과 인사제도가 결합될 때 경력개발시스템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ystem and personnel management equity on career success for workers who experienced various career change environment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areer adaptation partially mediated career development system and career success relation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nel management equity on career success and career adaptation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nel system fairness was mediated by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ystem and career success. The analysis results confirm the importance of career adaptability and personnel system fairness for individual career success and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development system can be increase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e personnel system are combined.

Ⅰ. 서 론
Ⅱ. 이론 고찰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설계와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연구의 결론 및 한계점
감사의 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