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리빙랩 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때 전체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둘째, 범주형 변수에 따른 리빙랩 기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범주형 변수는 연구 결과 특성, 연구 특성, 연구 설계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랩 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0.347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지식정보처리 1.244, 의사소통능력 0.593, 문제해결능력 0.261, 창의성 0.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는 전기전자 1.146, 기술가정 0.489, 인공지능 0.379, 실과 0.168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고등 학교 1.058, 중학교 0.312, 초등학교 0.217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는 두 학년 이상을 통합하여 운영한 경우 0.295, 단일 학년 0.294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effects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Seven primary studies reporting the effect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were carefully selected for data analys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The overall effect size refers to the eff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living lab-based education according to categorical variables? Categorical variables are outcome characteristics, study characteristics, and design characteristic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living lab-based education was 0.347. Secon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gnitive domain was 1.244 for information process, 0.593 for communication, 0.261 for problem solving, and 0.26 for creativity. Thir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ubject area was shown in the orde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1.146,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0.489, artificial intelligence 0.379, and practical arts 0.168. Fourth,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chool level was 1.058 for high school, 0.312 for middle school, and 0.217 for elementary school. Fifth, the effect size by grade level was 0.295 when two or more grades were integrated and 0.294 for a single grade.